올해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디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물가 하락을 주도하는 품목 비중이 제한적인데다 정부의 복지정책 강화 등 제도적 특이 요인이 물가 하락에 영향을 주고 있는 만큼 전반적인 총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은 낮다는 평가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에 따르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4월 전망치를 하회할 것으로 관측됐다. 한은이 4월 전망한 물가상승률이 1.1%인 점을 감안할 때 0%대로 내려앉을 수 있다는 얘기다. 물가상승률 0%대가 현실화되면 경기 부진과 국제유가 급락 등의 여파가 겹쳤던 지난 2015년(0.7%) 이후 4년 만에 처음으로 0%대를 기록하게 된다.

저물가 현상이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일각에서는 경기침체 속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는 상황이다.

조동철 금융통화위원회 위원도 최근 "지나치게 낮은 물가상승률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경제에 예상치 못한 충격이 가해지면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위험은 증대된다"며 우려를 나타낸 바 있다. 올 1~5월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6%로 5개월 내내 0%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은은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최근 나타난 저물가 현상은 농산물과 석유류, 공공서비스 등 일부 품목의 가격 하락에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에서다. 공공서비스 물가의 경유 교육, 의료, 통신 등 정부의 복지정책 강화에 따라 올 상반기 마이너스로 전환된 상태다.

다만 2016~2017년에 가격이 상승한 품목 상당수는 지난해부터 올 1분기까지 오름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대인플레이션이 물가안정목표를 상회하고 있는 점도 물가하방 압력에 제동을 걸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본이 1995년 디플레이션 국면으로 진입하기 직전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이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동조화된 점을 근거로 들었다.

올 1~5월중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은 2.2%로 물가안정목표인 2%를 웃돌고 있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장기 기대인플레이션도 소비자물가상승률을 상회하고 있다.

물가 여건뿐만 아니라 경기 상황, 자산시장 여건 등 포괄적인 방식으로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평가하는 국제통화기금(IMF)의 디플레이션 취약성 지수(DVI)를 산출한 결과 우리나라의 DVI는 2015년 이후 최근까지 '매우 낮음' 단계에 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우리 경제가 향후 예상밖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 한 전반적인 총수요가 급격히 위축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고 강조했다. 구자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