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뒤 한국의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2017년보다 1195만 명 줄어든다. 2017년 3757만 명에서 2047년 2562만 명으로 31.8% 감소한다. 따라서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해야 하는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979만 명까지 불어난다. 이에 따라 2047년이 되면 생산연령인구 1명당 노인 0.7명씩을 부양해야 한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시·도별 장래인구특별추계 결과(2017~2047년)'에 따르면 2017년 전국의 고령인구는 706만6000명이다. 이 수는 2020년 812만5000명으로 800만의 벽을 넘긴 뒤 2025년 1051만1000명, 2047년 1878만7000명까지 급속히 늘어난다.

이 기간 생산연령인구는 내리막을 걷는다. 2017년 3757만2000명에서 2025년 3585만3000명으로 줄어든 뒤 2047년 2562만 명이 된다. 2017년보다 1195만명 감소한 숫자이다.

감소폭은 영남권과 호남권에서 특히 크다. 영남권 391만명(-41.5%), 호남권 142만명(-35.5%) 줄어든다. 시·도별로는 부산(-45.6%), 대구(-43.4%), 울산(-41.4%) 순으로 감소율이 높다.

이에 따라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하는 0~14세 유소년인구와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17년 36.7명(유소년인구 17.9명, 고령인구 18.8명)에서 2047년 90.9명(유소년인구 17.6명, 고령인구 73.3명)까지 늘어난다.

또 시도별 인구 변화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서울을 비롯한 전국 10개 시·도에서 올해 인구가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0.44%)과 부산(-0.81%), 대구(-0.71%), 대전(-0.60%), 울산(-0.69%), 강원(-0.28%), 전북(-0.93%), 전남(-0.97%), 경북(-0.36%), 경남(-0.19%) 등 10개 시·도에서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통계청은 2044년에는 세종을 제외한 전국에서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2035년 강원, 2036년 인천, 2037년 경기·충북, 2040년 충남에 이어 2044년에는 제주까지 인구 감소가 확대돼 25년 후인 2044년 이후에는 세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시·도별 장래인구 추계는 당초 2022년 공표할 예정이었으나 최근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라 특별추계 형태로 (시점을 앞당겨) 발표했다"며 "조사 결과 각 시·도에서 인구 감소가 빨라졌고 저출산으로 인한 고령화 심화 결과가 나타났다"고 전했다. 구자혜 기자

저작권자 © 시사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