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조원 민정수석(오른쪽)과 조국 전 민정수석이 26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인사 발표를 마친 후 기자들과 인사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정부의 새 '사정 라인'의 진용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김조원 신임 민정수석을 임명하면서 새 틀을 갖추게 됐다.

김조원 민정수석과 25일 임기를 시작한 윤석열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 기용이 예상되는 조국 전 민정수석이 주인공이다. 이들 세 명이은 공직 기강을 다잡고 사법 개혁을 추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김 수석은 감사원 사무총장과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 등을 역임한 비(非) 검찰 출신 사정 관료다. 대부분의 공직 경험을 감사원에서 쌓았다. 참여정부 때인 2005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으로 발탁돼 민정수석이던 문재인 대통령과 손발을 맞췄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그가 '깐깐한 원칙주의자'라는 평가가 많다.

김 수석은 문재인 대통령이 민주당 대표를 지내던 2015년에는 당 당무감사원장을 맡았다. 당시 김 수석은 문 대통령의 측근이던 노영민 비서실장(당시 의원)의 '시집 강매 사건'을 당무 감사해 엄중 징계를 요구했다. 이 사건으로 노 실장은 당원자격정지 6개월의 중징계를 받고 20대 총선 출마를 포기했다.

청와대가 민정 라인의 한 축으로 김 수석을 발탁한 것은 집권 중반기 공직 기강을 확립하고 사법 개혁의 동력을 유지하겠다는 의도가 크다. 김 수석이 비검찰 출신이면서도 사정 업무에 전문성을 갖고 있고 엄정하게 업무를 수행할 인물이라는 점이 높이 평가된 것으로 보인다.

노 실장은 이날 인사 발표 브리핑에서 "김 수석은 대통령비서실 공직기강 비서관과 감사원 사무총장을 역임한 정통 감사 행정 전문가다. 그리고, 대학 총장과 민간 기업 대표를 거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역량을 발휘했다"고 임명 배경을 밝혔다.

조국 전(前) 민정수석은 다음달 개각에서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 검경 수사권 조정 등의 개혁 작업은 법무부가, '공직 기강 세우기'는 청와대가 주도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사정라인의 다른 한 축인 윤석열 검찰총장은 전날 임기를 시작했다. 문 대통령은 윤 총장에게도 '권력형 비리 척결'과 '공직 기강 확립'을 위해 검찰이 역할을 해달라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윤 총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면서 "윤 총장은 권력에 휘둘리지 않고 권력의 눈치도 보지 않고 사람에 충성하지 않는 자세로 권력형 비리를 아주 공정하게 처리해 국민들의 신망을 받았다"면서 “살아있는 권력에 대해서도 똑같은 자세가 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청와대는 시민사회 출신의 김거성 사회복지법인 송죽원 대표이사를 시민사회수석으로 임명하고 황덕순 일자리기획비서관을 일자리수석으로 승진 기용했다.

김 수석은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과 박정희 정권 당시 함께 학생운동을 했던 동지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화운동을 하다 여러 차례 투옥된 적도 있다. 이후에는 한국투명성기구의 모체가 된 반부패국민연대 사무총장을 지낸 것을 계기로 시민사회를 이끌며 반부패 운동에 앞장섰다.

황 수석은 문재인 정부 출범부터 청와대에서 일자리와 노동 관련 업무를 맡아온 노동경제학자다. 2017년 5월 고용노동비서관으로 청와대에 입성했고, 지난해 12월에는 청와대 일자리기획비서관으로 수평 이동한 뒤 7개월 만에 수석으로 승진했다. 신성찬 기자

저작권자 © 시사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