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시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시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16일 기준금리를 연 1.25%로 인하했다. 한은이 금리인하 카드를 꺼내든 것은 지난 7월 이후 석 달 만이다. 이로써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하게 됐다.

금통위는 이날 오전 한국은행 본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에서 금리를 기존 연 1.50%에서 1.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지난 7월 금리를 1.75%에서 1.50%로 낮추면서 인하 신호탄을 쏘더니 8월 한차례 동결한 뒤 이번에 추가 인하에 나선 것이다.

이번 금리인하는 깊어지는 경기 침체의 골을 감안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추가 금리인하 여지가 남아있다고 전망한다.

글로벌 교역 둔화, 미·중 무역분쟁 등에 휩싸여 수출·내수 부진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경제는 올해 2%대 성장을 일궈내기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한은은 당초 내놓은 전망치(2.2%)를 부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에서 2.0%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이 0.4% 하락해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한 점도 금리인하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많다. 지난달 마이너스 물가가 나타난 것은 농축산물값 하락 등 일시적 요인이 크다고는 하지만 올들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0%대를 지속해오며 이미 디플레이션 우려는 번진 상태다.

이번 금리인하는 시장의 예상과도 대체로 부합했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1일부터 8일까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200명(96개 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5%가 이달 기준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지난달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인하에 나선 점도 한은의 추가 금리인하 부담감을 다소 덜어 준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금리인하로 한·미 금리차는 다시 0.50%포인트에서 0.75%포인트로 벌어졌지만 적정선에서는 벗어나지 않는다.

세계 경제 둔화 흐름 속에서 맥을 못추고 있는 국내 경제 상황을 감안할 때 한은의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미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3분기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은 수출 부진세 등의 영향으로 0% 초반대에 불과할 것"이라며 "11월부터 수출 마이너스 폭이 다소 줄어들 순 있어도 경기 개선에 따른 결과가 아니기 때문에 내년 1분기 추가 금리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유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경종 기자

저작권자 © 시사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