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고용을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기업은 '청년 눈높이'를, 청년 구직자는 '기업의 노력 부족'을 우선순위로 꼽으며 견해차를 드러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6일 기업, 학계 및 전문가, 근로자, 청년구직자 등 청년고용과 직·간접적인 연관이 있는 대상으로 시행한 '청년고용 제약요인 인식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그 결과 기업이 바라본 청년고용 제약 요인으로는 ▲청년 눈높이(8.12) ▲경기침체(7.85) ▲정년 60세 의무화(7.69) ▲학력과잉 및 학교교육(7.68)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49) 순으로 나타났다.(10점 만점)

청년구직자는 ▲기업의 노력 부족(7.72)을 가장 영향력이 큰 요소로 바라봤으며 ▲학력과잉 및 학교교육(7.7) ▲경기침체(7.67) ▲정부 및 정치권 정책 실패(7.38)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08) 순으로 응답했다.

기업이 1위와 3위로 꼽은 청년 눈높이(7.06)와 정년 60세 의무화(6.52)를 청년구직자는 각각 6위와 8위로 꼽았다. 청년구직자가 1위로 꼽은 '기업의 노력 구조'를 기업은 10위(6.19)로 선정했다.

학계 및 전문가는 청년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이 큰 요인으로 ▲산업구조의 변화(7.39)를 가장 높게 평가했으며 ▲경기침체(7.34)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3) ▲학력과잉 및 학교교육(7.28) ▲정년 60세 의무화(7.21) 등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선전한 5대 요인과 비교할 때 산업구조 변화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소에서 학계와 기업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근로자가 꼽은 청년 일자리 제약 요인은 ▲학력과잉 및 학교교육 문제(7.75)를 1순위로 지적했으며 ▲청년 눈높이(7.74) ▲기업의 노력 부족(7.45) ▲경기침체(7.33) ▲정부 및 정치권 정책 실패(7.28) 순으로 응답했다.

'기업의 노력 부족 요인'에 대해서는 3위로 기업(10위)과 상당한 시각차를 나타냈으며, 기업이 높은 순위를 부여한 '정년 60세 의무화'(3위) 및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5위)에 대해서는 반대로 9위와 7위의 점수를 부여, 인식차이를 보였다.

향후 청년고용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응답주체의 70%가 '장·단기적으로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답했다.

청년 고용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해야 할 핵심주체로는 ▲청년구직자의 60.9%, 근로자 56.1% ▲기업 45.2%, 학계 및 전문가 39.2%가 '정부'와 '기업'을 꼽았다.

경총은 "정부는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정책과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등을 적극적으로 전개하는 한편 강도 높은 경제활성화 정책을 우선 추진함으로써 기업이 더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노사협력을 통해 기존의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이 청년 구직자를 배려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기업이 인사·임금체계를 직무와 성과 중심으로 개편할 수 있도록 촉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