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우리나라 금융에 대한 일반인들의 전반적인 신뢰도가 6개월전보다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정부와 금융감독기관의 금융정책 정당성과 효율성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금융연구원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만 19세 이상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을 실시한 결과, '2015년 하반기 금융신뢰지수'의 '전반적 신뢰도'는 92.7로 올해 상반기 86.2보다 6.5포인트 상승했다.

금융연구원이 신뢰지수 측정을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응답률로 보면 '신뢰한다'(1.5%), '어느정도 신뢰한다'(17.5%)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상반기 조사 1.4%와 12.7%보다 높아졌다.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도 54.2%로 상반기 50.9%보다 늘었다. 반면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26.3%에서 18.7%로 감소했다. '신뢰하지 않는다'라는 응답은 상반기와 같은 8.2%를 기록했다.

항목별로 응답률을 지수로 나타내면 '금융회사 고객서비스'의 신뢰지수는 상반기 93.1보다 7.1포인트 상승한 100.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금융종사자 신뢰도는 97.6로, 상반기 90.6보다 7포인트 상승했다. 금융제도의 공정성·합리성(76.5→84.9), 금융감독기관 소비자보호 노력(72.1→82.2), 금융회사 경영상태(74.9→78.8) 등 전반적으로 지표가 개선됐다.

또 개인의 경제사정과 국내 경제사정을 묻는 문항은 79.7에서 82.2, 55.4에서 58.7로 소폭 개선되는 데 그쳤다.

다만 정부 금융정책 정당성(66.5→73.2), 금융감독기관의 효율성은(60.9→64.3) 등은 지수 상승에도 여전히 최하 수준을 유지했다.

서병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감독기관의 소비자보호 노력에서의 신뢰 상승도 신뢰지수 개선에 기여했"면서 "하지만 하위권에 머무른 금융감독의 효율성과 금융정책의 적정성 부문은 신뢰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