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실제 자동이체 변경 건수는 3만4517건에 그쳐

업계 "국민들 관심 뜨겁지만 아직 제도 본격 시행 단계는 아냐"

온·오프라인서 자동이체 가능해지는 내년 2월부터 진검승부 펼쳐질 듯


계좌이동제 시행 후 일주일. 국민들은 뜨거운 관심을 보냈고 업계는 차분하게 변화를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30일 은행권 금융개혁의 핵심인 계좌이동제가 전격 시행됐다.

8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계좌이동제 실시 이후 2영업일간 계좌이동 사이트인 '페이인포'접속 건수는 21만2970건이다. 이 가운데 자동이체 변경 건수는 3만4517건, 자동이체 해지 건수는 7만301건이다.

특히 1영업일에 접속 건수는 18만93570건까지 기록됐다. 업계 내에서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개혁'을 하겠다던 금융당국의 취지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자동이체 변경 건수는 그다지 많지 않았지만 접속 건수는 상당히 높게 나온 것 같다"며 "한동안 포털사이트 인기 검색어 상위권에 계좌이동제가 계속 오를 만큼 많은 분들이 호기심과 기대감을 가지고 페이인포에 접속한 것 같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은 불필요한 잡음을 막기 위해 2영업일 이후 페이인포에 기록되는 각종 통계들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추후 업계와의 논의를 통해 공식적인 기록 발표 시기를 결정할 계획이다.

계좌이동제는 이제 첫 발을 뗐다. 본격적인 '대이동'은 내년 2월을 기점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현재는 이동통신·보험·카드 3개 업종의 자동납부를 대상으로 한 출금계좌 변경 서비스만 이뤄지고 있다.

내년 2월부터는 은행 창구에서 계좌를 개설하면 기존계좌에 연결된 자동이체(자동송금 포함) 항목을 온·오프라인에서 끌어올 수 있게 된다. 이때부터 주거래계좌가 바뀌는 '머니무브'가 일어날 수 있다.

아직 계좌이동제가 전면 실시된 단계는 아니기 때문에 은행들은 차분한 태도로 더 큰 변화를 준비하고 있다.

계좌이동제 초반 자동이체 항목의 증감 여부에 대해 각 은행들은 일희일비하지 않고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제도 시행 초반 우리 은행은 자동이체 항목이 순증한 것으로 조사됐다"며 "단 지금은 자동이체 항목만 이동한 수준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주거래계좌가 넘어왔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까지의 결과만 가지고 계좌이동제를 통한 업체별 득실을 따질 순 없다"며 "새로운 상품이나 혜택을 업그레이드 해가면서 시장의 상황을 예의주시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다른 은행 관계자는 "현재 나온 자동이체 항목 증감률은 큰 의미가 없다"며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내년 2월 이후 상황이 어떻게 되는지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밝혔다.

계좌이동제가 '용두사미'에 그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금융당국은 금융개혁의 선두 주자로 은행권을 꼽았고 그 간판에 계좌이동제를 내세웠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지난 5일 '한국금융연구원 금융경영인 조찬강연회'에서 "계좌이동제는 내년 2월까지 단계적으로 확대되고 6월이 되면 전체 요금청구기관에 대한 자동납부 변경이 가능해진다"며 "금융개혁의 핵심은 경쟁을 일으키고 혁신하는 것인데 계좌이동제가 활성화되면 금융 소비자 보호, 선택권 확대 등의 순기능이 나타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한국금융연구원은 계좌이동서비스에 따른 기대 효과가 ▲금융소비자 ▲가격체계의 투명성 ▲산업구조 측면에서 각각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소비자 측면에서는 금융회사 선택권 확대, 편익 제고 등을 할 수 있고 산업구조 측면에서는 독과점 폐해 보정, 산업 재편 등을 이뤄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가격체계 투명성 측면에서도 시장에 의한 투명하고 합리적인 가격체계 형성, 서비스에 부합하는 수수료 체계 확립 등이 가능하다고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