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와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국무위원들이 5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청년 일자리 확대 등을 위한 4조원 내외의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의·의결하기 위해 열린 임시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뉴시스

정부가 4년 연속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 나섰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는 두 번째다. 청년일자리 문제 해소와 위기지역 지원를 위해서다. 3조9000억원 추경규모 중 청년일자리 대책에만 2조9000억원을 지원한다.

정부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2018년 추경예산안 및 세법개정안'을 의결했다.

정부는 이번 추경안을 편성하며 “초과세수 활용이나 국채 발행 없이 지난해 쓰고 남은 결산잉여금과 기금 여유자금만 사용하기로 하는 등 재정건전성 유지에 최대한 노력했다”고 밝혔다.

이 추경안과 세법개정안은 오는 6일 국회에 제출하며, 4월중 국회 본회의 통과를 목표로 한다. 이달 임시국회 내 처리되면 이르면 다음 달부터 집행된다.

다만 여소야대 상황에서 야권이 본예산이 집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추경을 편성한다는 것은 6·13 지방선거를 앞둔 '선심성 퍼주기'라며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어 국회 통과에 거센 진통이 예상된다.

정부의 추경 편성은 2015년(11조6000억원), 2016년(11조원), 2017년(11조2000억원)에 이어 4년 연속이 된다.

문재인 정부 들어서만 두 번째로 모두 일자리용 추경이다. 다만 올해 추경에는 공공부문은 제외한데다 산업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을 겪는 고용위기 지역과 업종에 대한 지원이 담겼다는 점에서 앞선 추경과 차이가 있다

올해 추경 규모는 3조9000억원으로 청년일자리 대책과 구조조정 지역·업종 지원대책(지역대책)에 각각 2조9000억원, 1조원을 쓰기로 했다.

청년일자리 대책 규모는 올해 전체 청년 일자리 예산 3조원과 맞먹는다. 지역대책도 군산·통영 등 특정 지역에 한정해 지원된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규모다.

청년일자리 대책은 특단의 당면과제와 구조적 과제 대응의 두 가지 정책 방향으로 추진하게 된다.

당면과제는 4대 분야로 나눠 소득·주거·자산형성 지원에 가장 많은 1조7000억원을 배정했다. 연간 12만개의 창업 유도를 위해서는 8000억원, 새로운 취업기회 창출에는 2000억원, 선(先)취업·후(後)진학 지원과 취·창업 실질역량 강화에는 각 1000억원씩 투입된다.

구조적 과제 대응을 위해 규제개혁, 혁신성장 가속화, 교육·훈련 혁신, 노동시장 구조개선 등을 추진한다.

지역대책은 구조조정에 따른 단기적 충격을 완화하고 기업 유치·대체 보완산업 육성 등을 통해 지역경제 활력을 회복하는 데 방점이 찍혀있다.

역시 4대 핵심 분야로 구분해 지역기업·협력업체 지원에 가장 많은 4000억원을 쓴다. 소상공인·전통시장 지원과 지역투자·관광·인프라 지원에는 2000억원, 근로자·실직자 지원에는 1000억원을 각각 배정했다.

특히 지역대책에 대한 추가사업 지원과 새로운 위기지역 지정 가능성 등 불확정 소요에 대비하기 위해 2500억원의 목적예비비를 반영한 것이 눈에 띈다.

추경 재원은 지난해 결산잉여금 2조6000억원과 기금 여유자금 1조3000억원으로 조달하기로 했다.

지난해 세계잉여금(총세입액-총세출액-이월액) 11조3000억원 중 세출이 특정된 특별회계 1조3000억원을 제외한 일반회계 잉여금은 10조원이다.

국가재정법이 정한 순서에 따라 지방교부세·교부금 정산(5조9762억원), 공적자금 상환(1조2198억원), 채무상환(8539억원) 등에 쓰고도 3조원 가량 남았다. 이는 추경 재원으로 써도 무리가 없는 돈이다.

여기에 더해 정부가 벌이는 기금사업 중 현재 활용되지 않는 여윳돈을 끌어다 쓴다는 것이다.

청년일자리 대책 2조9000억원중 잉여금이 1조9000억원, 기금이 1억원 반영됐다. 지역대책 1조원의 경우 잉여금이 목적예비비를 포함해 7000억원, 기금이 3000억원이다. /박진우 기자

저작권자 © 시사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