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6일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박정희 정권의 유신체제에 항거해 부산과 마산 일대에서 일어난 민주화운동인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했다. 올해 처음 국가기념일로 지정돼 정부 주관으로 열렸다.

이날 기념식은 1979년 10월16일 부산에서 시작된 시민항쟁을 마산으로까지 확산시킨 촉발지점인 경남대학교에서 개최됐다.

'1979~2019 우리들의 부마'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는 40년 만에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부마민주항쟁 가치와 정신을 계승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를 통해 40년 전 민주화를 위해 싸우다 상처를 입은 피해자와 관계자에게 정부를 대표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문 대통령은 "유가족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리며 유신독재의 가혹한 폭력으로 인권을 유린당한 피해자들 모두에게 대통령으로서 깊은 위로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이어 "숫자로만 남아있는 항쟁의 주역들과 피해자들이 자신의 이름을 찾고 명예를 회복하도록 할 것이며 국가폭력 가해자들의 책임 소재도 철저히 규명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민주주의 다양성과 확장성을 강조했다. 기존 3대 민주항쟁(4·19혁명, 5·18광주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에 이어 부마항쟁을 포함시킨 것에 대한 의미 부여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민주주의를 통해 많은 국민들은 자신의 목소리를 갖게 됐다. 각자의 목소리를 분출하며 민주주의는 더 다양해지고 자신의 목소리가 중요한 만큼 다른 이들의 목소리도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아 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부마항쟁이 40년 만에 처음 국가기념식으로 승격됐듯, 항쟁의 바탕으로 깔린 민주주의에 대한 개념도 점차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이는 오늘날 지역주의 상징으로 대표되는 부산과 광주 대신 민주항쟁의 발원지 차원에서 함께 거론한 것은 영호남을 함께 아우르겠다는 포용의 메시지로 해석된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정부는 부마민주항쟁의 진상규명과 피해자들의 명예회복, 보상에 더욱 힘을 쏟을 것"이라고 밝히면서도 "이제와서 문책하자는 것이 아니라 역사의 정의를 바로 세우고자 하는 것"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이날 식에는 부마민주항쟁 참여자와 가족들도 대거 참석했다.

기념식 참석에 앞서 문 대통령은 ‘부마민주항쟁 특별전시'를 부마항쟁 참여자들과 함께 관람했다. 부마민주항쟁재단이 기획한 이번 전시는 전국을 순회하며 진행 중이다.

/신성찬 기자

저작권자 © 시사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