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인호 기자) G7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관계 개선에 나서려던 문재인 정부의 구상에 또다시 제동이 걸렸다. 

일본 정부의 일방적 취소로 문재인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의 단독 회담이 끝내 불발됐다. 특히 일본 정부가 강제징용과 위안부 배상 판결 등 과거사에 대한 한국 정부의 해법을 요구하며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1일~13일(현지시간) 영국 콘월에서 열린 G7정상회의에 참관국 정상 자격으로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두 정상은 지난 12일 G7 확대회의 참석을 앞두고 짧은 인사를 나누는데 그쳤다. 

한일 정상 간 만남은 문 대통령이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와 2019년 12월 회담한 후 1년 6개월 만이다. 

문 대통령은 G7 정상회의 일정을 마친 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스가 총리와의 첫 대면은 한일 관계에서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지만 회담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을 아쉽게 생각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G7 정상회의 계기를 포함해 그간 우리 정부는 한일 정상 간 만남에 열린 자세로 임해 왔으나 실제 현장에서 회동이 이뤄지지 못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의 냉담한 분위기는 G7 정상회의 폐막 후 13일(현지시간) 스가 총리가 동행 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도 드러났다. 스가 총리는 문 대통령과 만남에 대해 "(문 대통령이) 인사해 나도 당연히 실례가 되지 않도록 인사했다", "바비큐(만찬회) 때에도 (문 대통령이) 인사해 왔다"고 말했다. 

특히 스가 총리는 "국가와 국가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상황으로, 그 환경(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할)이 아니다"고 말했다. 강제징용과 위안부 피해자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해법 없이 만나지 않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한편, 스가 총리의 강경한 태도는 최근 지지율이 곤두박질치고 있는 상황속에서 한일 관계 개선에 나설 경우 지지 기반인 보수층의 이탈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시사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