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인섭(숙대 명예교수, 한국영재교육학회명예회장)

가정에서 부모님과 상호작용을 통해 자녀는 자신의 특성에 맞게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적절한 인지전략을 사용하며 학습에 방해되는 요인들을 적절히 통제하는 등 자녀의 학습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강점을 살리고 부족한 부분을 보강하여 자신만의 동기, 인지, 행동 전략을 획득하게 되며 이를 통해 학습능력의 향상 뿐 아니라 궁극에는 학업성취의 극대화를 가져오게 된다.

Ⅰ. 자녀의 성적향상 과정에서 학부모의 역할

학습능력은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훈련과 연습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학자들에 의하면 학습능력의 발달은 연령 증가에 따라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환경에 의해 수동적으로 획득되는 것도 아닌,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가정에서의 부모와의 상호작용은 중요하다.

따라서 학습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좋은 교육 훈련 프로그램과 더불어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환경은 아이가 자라면서 속하게 되는 곳으로, 가정, 학교, 사회 등을 말할 수 있는데 그 중 태어나면서부터 속하여 끊임없이 영향을 받는 가정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환경이다. 즉, 가정에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학습능력을 갖춘 리더를 키우기 위해 우리 학부모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학습은 아이들 스스로 공부의 주도권을 가지고 하는 것이지만 그것이 그냥 내버려 두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스스로 공부하는 것이 습관이 되기까지에는 부모의 바른 안내와 도움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자녀가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자녀 스스로 되는 것이 아니고 자녀의 잠재능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어렸을 때부터 부모의 적극적인 도움과 지지가 필요하다. 학생이 스스로 학습해 나가는 과정을 부모가 칭찬과 격려로 지지해주고, 학습 자료를 찾는데 도움을 준다거나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마련해 주는 역할을 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그럴 때 자녀는 안정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외부 환경에 쉽게 영향을 받지 않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로 성장해 나갈 수 있다. 이에 자녀의 학습능력을 키워주기 위한 부모의 역할을 보면 다음과 같다.

Ⅱ. 학습동기를 갖도록 도우라.

학습이 즐겁지 않고, 학습을 해야 하는 이유를 모른다면 어떠한 활동도 하기 어렵다. 부모는 먼저 자녀의 적성을 찾도록 도와주고 진로를 함께 계획해보고 목표를 세우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목표를 현재의 공부와 연결하여 공부의 중요성을 알게 하고 공부에 대한 흥미가 생기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공부에 대한 자신감을 갖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신념이 생기기 위해서는 작은 일에 대해서도 부모의 칭찬과 격려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렇게 목표가 있고, 현재 공부의 중요성을 알고 흥미를 느끼며, 공부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도록 부모가 도울 때 자녀는 학습동기를 갖게 되는 것이다.

Ⅲ. 자녀가 스스로 공부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도우라.

공부할 마음의 준비를 하는 것만으로는 학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공부는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부모가 도와줄 수 있는 또 다른 중요한 것은 자녀가 공부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익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기술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는 공부에 집중해야 하고 공부한 내용을 기억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공부에 가장 기본이 되는 집중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서 적용해보고, 과목별 특성에 따른 학습방법을 함께 찾아봄으로써 자신만의 학습방법을 갖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Ⅳ 자녀가 행동으로 옮기도록 도와줘라.

공부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있고 방법도 알았다면 이를 행동으로 옮 기는 것이 필요하다. 그 첫 번째는 시간을 잘 관리하는 것으로 자녀가 효과적으로 시간을 계획하도록 조언해주고, 계획대로 실천하도록 격려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자녀의 공부방 등을 최적의 환경으로 바꿔주며, 아이가 찾지 못하는 다양한 유용한 정보를 모아주는 등 학습에 있어 자녀가 도움을 요청할 때 적극적으로 지원해주는 것 또한 부모의 역할이라 볼 수 있다.

끝으로, 먼저 학습자 개별로 학습능력 검사를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지식을 생산할 수 있는 동기적·인지적·행동적 준비가 어느 정도 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이러한 시발 행동에 대한 진단 결과는 학습을 하기 전에 한 개인이 갖는 다양한 특성을 분석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사전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일 뿐 아니라 학습자의 특성에 적합한 개별 맞춤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함이다.

 

저작권자 © 시사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