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시사통신
그래픽=시사통신

국내 최대 컨테이너선사인 HMM의 매각 작업이 결렬됐다. 인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하림그룹과 JKL파트너스 컨소시엄, 그리고 정부 측 간의 주주 간 계약 협상이 6일까지 진행됐으나, 양측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해 결국 무산됐다. 이로 인해 HMM은 산업은행 및 채권단의 관리체제를 당분간 유지하게 됐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 등 매각 측은 하림그룹과 지난해 12월부터 진행된 HMM 지분 57.9% 매각을 위한 협상에 난항을 겪어왔다. 하림 컨소시엄은 동원그룹을 제치고 6조4000억원의 제안으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나, 매각 이후의 경영 주도권 문제가 큰 쟁점이 됐다.

하림 측은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가 매각 후 과도한 경영 개입을 해선 안 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반면, 매각 측은 HMM이 국가 해운산업에서 차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감안해 매각 이후에도 일정 부분 경영 감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해양수산부와 해양진흥공사는 하림 측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취했다.

결국 협상은 최종 결렬되었으며,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는 HMM 지분 57.9%를 그대로 보유하게 되었다. 또한, 이들은 1조6800억원 규모의 영구채도 보유 중으로, 이 영구채는 올해와 내년에 콜옵션 행사 시점이 도래한다. 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는 배임 우려를 의식해 영구채를 모두 주식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 경우 두 기관의 지분율은 더욱 높아진다.

HMM 재매각에 대한 계획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업계에서는 단기간 내의 재매각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해운업 구조조정의 적기를 놓쳤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HMM이 산업은행 등 채권단 관리체제로 전환된 것은 2016년으로, 당시 해운업 침체기를 이겨내지 못하고 한진해운이 파산한 후 국내 유일의 대형선사로 남았다. 코로나19 시기에는 물류 대란을 겪으며 초호황기를 맞았으나, 하림과의 협상이 난항을 겪은 끝에 최종 무산됐고, 해운업황은 다시 침체기로 전환됐다.

협상 결렬의 직접적인 원인은 하림 측이 매각 측의 주주 간 계약 요구에 대한 답변을 기한 내 제시하지 않은 것이다. 하림은 협상 막바지에 대부분의 요구사항을 포기했지만, JKL파트너스의 지분매각 제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해진공은 JKL파트너스의 지분 매각 제한 기간을 3년으로 줄이라는 하림의 제안을 거부했으며, 결국 협상은 결렬됐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세계 해운 시장은 더욱 급변하고 있다. 머스크와 하팍로이드의 '제미니 협력' 창설 및 HMM이 소속된 '디얼라이언스'의 재편성 등은 HMM에 새로운 도전과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동 분쟁 등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해운업에 큰 영향을 미칠 변수로 남아 있다.

저작권자 © 시사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